제3의 자본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말을 처음 들은 건, 대학원에서 여성정책론 수업을 들을 때 였다.
학기말 즈음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로 수업이 진행되었고,
그때 처음 사회적 자본이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었다.
당시 읽었던 아티클들은...
외국에서 남자와 여자의 사회적 자본을 비교했던 글들~
내가 발제를 맡았었는데, 개념이 생소하고 단어들이 어려워 번역해서 발제하는데 꽤나 어려움이 많았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 잊고 지내다가,
국회 의원열람실에서 이 책을 발견하였다. <제3의 자본>!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몇몇 학자들과 함께 써낸 학술서이자 개론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제1부 사회적 자본
1.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2.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3. 사회적 자본의 경제,사회적 효과
제2부 신뢰가 부족한 한국 사회
4. 공적 제도는 사회적 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5. 갈등사회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모순
제3부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과제
6. 사회적 자본,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7. 사회적 자본 지수의 개발
8. 세계 사회적 자본 지수
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7대 과제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부터 시작하여,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7대 과제 까지 하나하나 집어나가고 있다. 매우 친절히!
사회적 자본: 경제주체 간 협력을 촉진하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무형자산
사회적 자본= 관계 자본(지위, 신뢰, 책임)+ 시스템 자본(사회통제, 사회신뢰, 사회규범)
그리고 다양한 문헌을 통한 사회적 자본과 신뢰, 책임, 사회통제 등 여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입증.
예측 가능한대로, 우리나라는 사회적 자본이 매우 낮은 사회라고 나오고 있다.
거의 모든 통계들에서~ OECD의 하위권을 달리고 있는 우리나라.
그 중 눈에 띄었던 통계 하나.
"일반인에 대한 신뢰와 함께 각종 사회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사회적 자본 수준을 추정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각종 사회기관과 접촉한 경험을 통해서 사회 전체에 대한 신뢰성을 판가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1999~2004년간 세계 가치관조사에 의하면 한국은 다수의 사회기관(국회, 정부, 정당, 경찰, 기업 및 종교기관)에 대해 외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특히 국회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도는 10.1%에 불과해 71개 조사대상국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국회에 대한 신뢰가 매우 낮은 것은 익히 알아왔던 사실이나...
71개국 중 최하위라니, 몸 담고 있는 조직이어서 그런지 왠지 기분이 더욱 더 씁쓸한~
많은 표와 통계수치들을 보여주며,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의 현재를 알려주고...
이 책은 결론적으로 몇가지 정책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 작은 곳부터 법질서를 준수할 인센티브 증진
- 비현실적인 법과 규제의 정비
- 공정하고 효율적인 법 집행
- 시민,리더쉽 교육
- 열린 네트워크를 향한 노력
- 합리적 소통으로 사회갈등 해결
- 공동체 의식 함양
알면서도 하지 못하는 것들...
사회적 자본의 증진 또한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래도 미래에는 지금 보단 조금 더 나아지겠지...